본문 바로가기

기업정보/관심종목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부 (작성 중)

반응형

 

현재 EU 시장 내에서 출시되는 모든 배터리(산업용·자동차용·전기자동차용 등)는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돼야 하며 수명이 다한 배터리는 회수·재제조·재활용 등을 거쳐 시장에 재공급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근데.. 배터리 양극활물질 중 희귀 금속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를 회수하면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배터리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전 세계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2030년 20조원에서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엄청난 규모와 속도로 개화되는 사업이니.. 최근들어 많은 회사들이 본 시장에 진입하고 있고.. 진입 계획을 밝히고 있다. 게다가.. 최근 세계적으로 핫한..2차전지 사업에서.. 아직 본격 개화가 되지 않은 시장이라 시장 선점을 위해 너도나도 사업 진출을 하는 모습이다. 

 

<출처 : 한경비지니스 뉴스>

 

 

그래서.. 오늘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정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은 크게 전처리, 후처리 공정으로 나뉜다. (전처리 공정만 수행하는 회사도 있고.. 전처리와 후처리 모두 수행하는 회사도 있음)

 

1) 전처리

   ① 해체 : 팩 해체, 셀 분리 

   ② 방전 : 물리적 방전

   ③ 열처리 : 고온(400도씨)에서 유기물 제외한 순수 금속들만 모음

   ④ 파분쇄 : 열처리 후 건조된 금속을 분쇄 파쇄 후 입도 선별, 자력 선별 진행 - 블랙파우더 형태로~

2. 후처리

 ① 습식제련(하이드로 메탈라이징) : 블랙파우더를 황산에 녹임

 ② 용매추출 : 특정 조건에서 (어떤 기름이) 코퍼만 땡겨가고 다시 코퍼만 뱉어냄. 그것을 계속 순환시킴. 다음엔 망간, 코발트, 니켈.. 마지막에 리튬이 나오게 되고.. 그것을 탄산리튬으로 만든다.

 

 

 

2.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5개사 (현재 매출 발생중인 회사)

 

1. 유미코어 (벨기에 글로벌 소재 전문기업)

 

 

- 국내 3사에 양극재를 공급한다. 

- 주요 매출 : 촉매 43%, 소재 37%, 리사이클링 20% (금속매출 제외 시)

-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 보유

- 유일하게 건식제련을 사용하고 있음. 

- 건식제련은 용광로 안에 물질을 넣고 금속, 불순물을 분리시키는 방식인데.. 대량 처리에 알맞다.

  하지만.. 설비구축, 유지비 높고.. 중간에 특정 원소를 잃어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2. 화유코발트 (603799.상하이)

 

 

 

- 금속 생산 및 가공 서비스 제공업체, 산화코발트, 수산화코발트, 옥살산코발트, 황산코발트, 일산화코발트, 구리, 니켈 등을 생산함.

- 코스코케미칼의 코발트 공급사, 양극재 분리기술 보유한 TMC의 최대주주임.

- 주요 매출원은 코발트로 약 66%를 차지 (이익비중 81%), 구리 11%, 배터리재료 10%

- 세계 코발트 생산의 50%를 책임지고 있는 회사

- 코발트 생산 시 부산물로 나오는 전해 구리를 판매함. 전구체도 판매함

- 폐배터리 해체 플랜트 건설을 시작했었고.. 코발트, 전구체, 리튬 배터리 양극재를 추출할 계획임.

 

- 중국 내 2차전지 관련 광물(코발트, 니켈) 가공품 시장점유율 1위 

- 광산을 소유하고 있어 소재 공급이 경쟁사 대비 원활함.

- 19년 LG화학과 합작법인 설립 (LG의 지분은 전구체 생산법인 49%, 양극재 생산법인 51%)

- 포스코hy클린메탈 (화유코발트+포스코 합작사) 설립하고 광양에 리사이클링 공장 설립 예정

- 폐배터리 해체 플랜트 건설

 

3. 거린메이 (GEM, 002340, 선전)

 

 

 

- 후베이성에 위치하는데.. 이 지역은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음.

- 배터리 소재 (비중57%),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비중21%), 스크랩 & 폐기물 처리 사업 영위

- 배터리 소재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전구체 등)는 원래료 매입해서 가공 판매 : 매출 총 이익률 22%

- 폐기물 처리 : 매출 총 이익률 14%

- 코발트 분말(코발트분말, 니켈분말, 텅스텐카바이드분말, 탄산코발트 등) 사업부문에 폐전지 리사이클링이 포함된다. 코발트 분말의 매출총이익률은 21%임.

- 전구체 생산에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추출한 재생원료를 사용하고 있음 (코발트 30%, 니켈 50%)

- 배터리 리사이클링 분야에서 폭스바겐, 벤츠, 도요타, 창안, 니오, 샤오펑 등 280개 기업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음 (폐배터리 회수율은 중국 10%를 차지함)

 

 

4. Hunan Brunp Recycling (CATL 자회사, 비상장사)

- 폐배터리 리유즈 사업 진출

 

 

5. 성일하이텍 (22년 상장 예정)

 - 군산에 1, 2공장 보유 (블랙 파우더 기준 연간 1.6만톤 생산 캐파 보유)

 - 5개사 중 매출이 가장 작은 회사임

 - 국내 배터리 셀 3사 및 해외 셀 메이커들과 협업 중

 - 추가 상세한 내용을 확이하고 싶으면.. 아래 포스팅 내용 참조~

 

https://yusae8th.tistory.com/108

 

[성일하이텍]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에 대해 관심이 많은 상황이었는데.. 21.09.29에 디일렉 멤버십용 영상에.. 성일하이테크가 나왔길래..그 영상을 보고 난 뒤.. 성일하이텍에 대한 추가 조사 내용 정리한다. 1.

yusae8th.tistory.com

 

3. 그 외 배터리 원재료 추출 기술 개발 중 회사들

 

1. 테슬라 

-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남겨진것을을 재처리해서 알루미늄, 구리, 리튬, 코발트 등의 광물 추출함

 

2. 미쓰비시 머티리얼

- 일본자력선광과 합작해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코발트, 니켈 추출을 시작 (22년 상용화 목표)

 

3. 스미모토금속광산

- 코발트, 니켈, 구리 등을 리사이클링 하는 공정 기술을 개발함.

 

4. 혼다

- 폐배터리 대량 리사이클링을 위해 공장 건설 계획 중

 

5. 폭스바겐

- 배터리 재활용 시범공장 건설 완료. 소재 활용률을 늘릴 계획

 

 

 

 

 

여기까지 작성 후.. 네이버 검색을 하다가.. 간첩님 블로그에서 글을 보고.. 정리는 일단 여기까지만 하는걸로 마무리 하려고 한다.

 

간첩님의 글을 아래에 링크로 걸어놓겠다.

https://blog.naver.com/dkanchup/222525991610

 

폐배터리 리사이클 누가 짱일까? 10가지 Q&A

전기차가 향후에 더 잘 나간다는 것을 믿고 그 뒤에 이어지는 이야기이다. 의심이 가시는 분은 전기차나 메...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