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

23.02.08 자동차 운반선 관련 뉴스를 보고..

반응형

오늘은 재밌는 기사가 있어서 읽던 중.. 얼마전 유튜브 언더스탠딩에서 조선의 국모 엄경아 선임 연구원이 동일 주제를 설명해 준 내용이 있어서 간단하게 체크하고 가려고 한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82749g?utm_source=naver&utm_medium=naver_newsstandcast&utm_campaign=newsstandcast_naver_all 

 

"차는 있는데 실어나를 배가 없다"…르노·쌍용차 '발동동'

"차는 있는데 실어나를 배가 없다"…르노·쌍용차 '발동동', 코로나19 車운반선 감소 수요 감소 전망에 새 선박 발주↓ 엔데믹 이후 자동차 수출은 폭증 1회 6000대 이하 수출하는 중견사 '직격탄'

www.hankyung.com

 

https://www.youtube.com/watch?v=zZnUSpQ4KIQ&t=2480s 

 

- 필자도 한때.. 조선소나, 부산항 등을 많이 돌아다녔었는데.. 카 캐리어는 글로비스 카 케리어 이외에는 본 적이 없고.. (아마 울산 아산로를 지나다녀 본 사람이라면.. 현대자동차 앞에 있는 글로비스 카 케리어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광양에서 딱 한번 글로비스 카 케리어 메인엔진 교체하는것을 본 적은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화물선은 약 60,000척이 있는데.. 자동차 운반선의 경우는 약 750여척이 있다고 한다. 

전체 운반선 중 약 1.25%의 점유율인데.. 그도 그럴것이.. 자동차를 해외로 수출 하는 나라가 그리 많은가?? 생각해보면.. 일본, 한군, 유럽 이외에는 그닥??? 이지 않나??

 

그만큼 자동차 운반선은 Rare한 선박으로.. 앞으로도 이런 물류 대란은 해결이 되기 힘들 것으로 생각한다. 

-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리쇼어링 중이라 (IRA때문에 현기차 보조금 제외 뉴스만 봐도 느낄 수 있지 않은가??) 현지에서 생산해서 판매를 하게 된다면.. 선사가 굳이 큰 돈 들여서.. 선박을 보유하려는 필요는 높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노후화된 카 캐리어는 폐선시킬 것이고.. 신규 발주는 하지 않을 것이니.. (사용처가 특별한 선박이라.. 용선 시장도 작거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 우리나라에서는 현기차 제외하고는.. 수출이 당분간 힘들겠다고 생각을 하면 될 듯 하다.

- 아직 한국은 자동차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많은 상황인데.. 쌍용, 르삼 협력업체들은 지금까지도 힘들었었는데.. 앞으로도 한동안은 많이 힘들 것 같다.

-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부족으로 한동안 고생하다가.. 좀 살아나나 싶더니.. 다시 물류 때문에 고생을 하게 되었구나.. 안타깝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