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정보/에스앤에스텍

[에스앤에스텍] 뇌피셜리 목표 수정 (메리츠리서치 EUV펠리클 시장 예상수요 적용 시)

반응형


금일 EUV펠리클 관련 뉴스 기사를 확인하던 중.. 공정별 펠리클 적용 수량과 삼성이 필요로하는 펠리클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데이터에 따르면.. 필자가 기존에 작성했던.. 포스팅 내용(아래 링크 글)이 수정되어야 해서.. 다시 포스팅을 한다.

https://yusae8th.tistory.com/99

[에스앤에스텍] 뇌피셜리 목표 (feat. 투과율 90% 이상 EUV 펠리클 )

금일 작성하는 내용은.. 내러티브에 의한 내용임.. (순수 FACT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내러티브(narrative) - 인과 관계로 엮인 실제적, 허구적인 이야기 다모다란 교수님이 '내러티브 앤 넘버스'

yusae8th.tistory.com


당시 글에서 사용한 가정은..
① ASML에서 출하되는 EUV장비 총 합을 구한 후..
② 장비별 월 1~2장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전세계 펠리클 수요를 구함
③ SST가 전세계 펠리클 시장 30% 점유를 가정
해서.. SST의 펠리클 매출을 예상했었다.

근데.. 거기에서 가장 중요한 ② 장비별 펠리클 수요 가정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 한 것이다.

아래 기사 내용 맨 마지막을 보니.. 공정별 포토마스크 및 펠리클 소요 수량이 나와 있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74692

삼성, EUV 공정 필수품 '펠리클' 직접 개발

삼성전자가 극자외선(EUV) 공정 필수품으로 꼽히는 '펠리클'을 자체 개발한다. 초미세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EUV 공정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ASML, 미쓰이화학, 에스앤에스텍, 에프에

n.news.naver.com


그래서 좀 더 검색을 해 보았더니.. 2020년 메리츠리서치센터 리포트 자료에 있던 내용들이었다. ㅜ.,ㅜ
필자의 스터디가 부족했음을 반성한다.

2020년 메리츠리서치센터 자료



그래서.. 기존 조건 중 펠리클 시장 크기를 제외한 가정은 그대로 두고..
뇌피셜리 목표가를 다시 계산했다.

1. 기존 가설

- EUV 장비 1대당 펠리클 1~2장/월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21년 기준 EUV 장비 누적 판매량이 150대.. 펠리클 1~2장/월, 2천만원~3천만원/장 계산

22년 기준으로..
150 x 1장 x 12개월 x 2천만원 = 360억
150 x 2장 x 12개월 x 3천만원 = 1,080억
의 market demand 가 발생된다고 볼 수 있음.

그리고 25년까지 확장해보면..
25년 기준 ASML EUV 장비 누적 판매량 약 420대..
25년 기준으로..
420 x 1장 x 12개월 (5,040장) x 2천만원 = 1,008억
420 x 2장 x 12개월 (10,080장) x 3천만원 = 3,024억
의 market demand 가 발생된다고 볼 수 있음.

근데.. 삼성은 23년부터 펠리클 사용한다고 발표했으므로.. 당장 실현화 되기는 어렵다고 보고..
적어도 23년 이후부터는 어느정도 실적이 나올 것으로 예상함.
필자의 가정에 따른.. EUV 펠리클 전체 마켓이..
22년 : 360~1,080억
25년 : 1,000 ~ 3,000억
22년~25년 3년간 CAGR 41%의 성장율이다.

이 시장 중 SST가 30%만 점유한다고 하면.. (지금은 SST가 90% 투과율을 성공했고.. 차후에 FST도 성공한다는 가정 하에.. SST는 약 30%의 시장 점유율을 점한다고 내 마음대로 가정함.)

25년에는 펠리클 매출이..300억~900억이 예상된다. (평균으로 계산하면.. 600억)
동사 20년 전체 매출이 870억인데.. 25년에.. 펠리클 매출만 최대 900억이라면..
블마.. 영업이익률 약 12%, 펠리클 영업이익률 약 25% 잡고..
2025년 총 매출 약 2천억 (블마 1.1천억, 펠리클 900억)에.. 총 영업이익 357억원 (opm : 17.9%) 예상

영업이익(25년) : 357억
순이익 (25년) : 289억
EPS (25년) : 1,350원
목표 PER : 30~50
목표가 (25년) : 40,500 ~ 67,500

2. 수정 가설

- 24년 펠리클 market demand : 45,000장
펠리클 장당 가격 2천만원 가정 시 = 9,000억
펠리클 장당 가격 3천만원 가정 시 = 13,500억
<참고 : ASML MK2.2(83%) : 1.8만달러, MK4.0(90%) : 3.5만달러 - lifetime 1만시간이나 워란티는 없음>
SST의 펠리클 장당 가격을 미쓰이 MK4보다 낮게 잡은 이유는 - 후발주자이기에 보수적으로 접근.

가정 1 : 전체 EUV펠리클 시장 중 SST가 30%만 점유한다고 하면..
- 참고로 삼성은 미쓰이 펠리클을 구매 한 이력이 없고.. 향후에도 미쓰이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고 하면.. SST의 점유율이 더 높아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또한.. 미쓰이가 전범기업이기도 하고.. 이쪽 업계에서는 갑질을 많이 하는 을이라고 알려져있음)
가정 2 : 펠리클 장당 가격 2~3천만원이라고 가정
24년 펠리클 매출이 2,700억 ~ 4,050억이 예상됨 (평균 약 3,375억)
동사 20년 총 매출이 블랭크마스크로만 870억이데.. 24년에 펠리클 매출이 3,375억이라면..
가정 3 : 블마 영업이익률 약 12%, 펠리클 영업이익률 25% 잡고..
가정 4 : 24년 블마 매출 1.1천억 가정
24년 매출 4.4천억 (BM 1.1천억, P 3.3천억) /영업이익 975억(132억 + 843억)예상 - P 매출 평균 적용 시

24년 매출 4.4천억 (BM 1.1천억, P 2.7천억) /영업이익 807억(132억 + 843억)예상 - P 매출 최저 적용 시

24년 매출 4.4천억 (BM 1.1천억, P 4.0천억) /영업이익 1,132억(132억 + 1,000억)예상 - P 매출 최대 적용 시

기존 가설 1 대비하여.. 예상 EPS가 많이 증가했기에..
목표 PER을 기존 30~50배 대비하여.. 20~30배로 낮게 잡았고..
목표 연도도 1년 앞당겼음에도 불구하고..
목표 주가는 많이 상승하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여기에는 가설1, 2, 3, 4는 필자 마음대로 정한 것이기에..
1. 시장 점유율 30%가 달성되지 않는다면..
2. 펠리클 장당 가격이 2~3천만원이 아니라면..
3. 블마 영업이익률 12%, 펠리클 영업이익률 25%가 되지 않는다면..
4. 블마 매출이 1.1천억보다 작다면..
5. 목표 PER 대비..시장에서 가치를 인정해주지 않는다면..

상기 목표가에는 수정이 필요하다.

물론.. 삼성전자에서 EUV 펠리클 자체 개발이라는 뉴스가 나왔지만..
이는 어느정도 내재화를 한다는 이야기지..
이렇게 큰.. EUV펠리클 시장에서.. 자신들이 사용 할 물량을 전부 내재화 하기는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 개인적인 생각에는.. 현 시점에서.. EUV펠리클 기술은
1위 : ASML
2위 : SST
3위 : 삼성전자
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필자는.. 오늘같이 많이 하락을 하는 날에도..
SST의 밝은 미래를 생각하며.. 엉덩이로 버티는 투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누차..밝히지만.. 필자의 평단 이하로 떨어진다면.. 추가 매수를 할 계획이다.
(평단까지 떨어지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주가가 내 생각대로 움직이지는 않으니.. 항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당시 현금이 부족한 상황이 온다면.. 약간의 레버리지도 사용 할 계획임.)


물론.. 필자는.. 에스앤에스텍의 주주로서..본 포스팅의 내용 또한.. 어느 정도는 개인적 희망이 들어가있는 포스팅이라는점.. 참고 바랍니다.
* 투자 판단은 개인의 몫이며 본 포스팅은 종목 추천 글이 아님을 참고 바랍니다.
* 글 내용이 유용했다면 아래 좋아요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