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정보/에스앤에스텍

[에스앤에스텍] EUV펠리클 시장의 개화를 기다리며

반응형

 

지난 9/29에 에스앤에스텍 90% 투과율 EUV 풀사이즈 펠리클 개발 소식을 포스팅 했었다.

https://yusae8th.tistory.com/90

 

[에스앤에스텍] 투과율 90% 펠리클 개발 완료

디일렉.. 유튜브에서 1년 넘게 기다리던.. 너무 너무.. 기쁜 소식을 접했다. (회원전용 동영상) 에스앤에스텍, 투과율 90% 풀사이즈 EUV 펠리클 개발 완료 소식이다. 필자는 작년4~10월에 높은 밸류에

yusae8th.tistory.com

 

그리고 그 후 에스앤에스텍 주가는 급등락을 반복함.

 

 

글 작성 당시 종가가 3만원선이니까.. 그 후 급등락을 반복했고.. 아직 당시 종가 대비 약 10% 상승 중이다. (물론.. 그 후 고가는 약 30% 상승이었으니까.. 이후 급락이라고 볼 수도 있음..)

물론 9/29에는 디일렉 유튜브에서 회원전용 영상으로 소식이 나왔으며.. 일반 영상으로는 10/6에 풀렸고.. 인터넷 뉴스도 10/6에 나왔었다.. (그래서 10/6 오전에는 주가가 하락중이었다가.. 오후에 급등했었음)

 

당시 포스팅 내용은 아래 참조.

 

https://yusae8th.tistory.com/114

 

[에스앤에스텍] 급락하더니.. 급등했네~

오늘 오전에 봤을땐.. 시장이 엉망이라 그런지 -7%정도로..급락중이었던것을 봤는데~ 조금전에 보니까.. 오후에 시원하게..말아올렸구만~ 요즘같은 장에는 호가창을 안보고 엉덩이로 버텨야한다

yusae8th.tistory.com

 

그럼.. 뉴스가 오픈 된 후 1~2주가 지난 현 시점에서 에스앤에스텍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기술한다.

 

1. EUV 노광 공정은 반도체 미세화에 필수 공정임.

2. 파운드리 5나노 이하 공정에서는 EUV 노광공정이 필수로 사용되고 있음 (현재 TSMC, 삼성만 사용 중이며.. 인텔도 파운드리에 재진출 중)

3. 메모리 반도체에서도 EUV 노광 공정이 사용되기 시작함.

 

그런데.. 최근 뉴스를 보면.. 삼성에서 향후 EUV 공정에 대한 로드맵을 밝혔고.. 기존에 알려진 내용 대비 그 시점이 당겨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14389

 

삼성 발표에 전 세계가 놀랐다…TSMC 잡을 '비장의 무기' 뭐길래 [박신영의 일렉트로맨]

"삼성전자가 전세계 반도체 경쟁사의 허를 찔렀다." 삼성전자가 2025년부터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반도체 양산에 들어간다고 발표한 7일, 전세계 반도체 업계는 이처럼 반응한 것으로 전

n.news.naver.com

 

2021.10.07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장(사장)이 GAA기술 적용한 3나노 반도체 양산 시점을 기존 전망(22년 하반기 양산 예상) 대비 앞당겨진 22년 상반기로 발표했다. 

- 21년 초 IR 행사에서는 22년 내 3nm 반도체 양산을 밝혔으나.. 그 시점이 반기정도 앞당겨진 것임.

 

22년 상반기: 3나노 양산 (GAA 1세대)

23년 내     : 3나노 양산 (GAA 2세대)

25년 내     : 2나노 양산 (GAA 3세대)

 

메모리쪽에서도 EUV노광장비 사용한다는 소식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5465 

 

[영상] 삼성 반도체, D램에 EUV 적용 의미와 전망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 한주엽입니다. 오늘 이수환 차장 모시고 극자외선(EUV) 공정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이: 안녕하세요. 이수환입니다.한: 저희가 얼마 전에 한양대학

www.thelec.kr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23742

 

SK하이닉스, M16에 새 EUV 노광기 설치 시작…차세대 D램 생산 본격화

SK하이닉스가 이천공장의 신규 팹인 'M16'에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설치를 시작했다. EUV 공정 핵심 장비를 들이는 작업을 시작한 만큼 10나노급 4세대(1a) D램 양산 준비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n.news.naver.com

 

그리고..기존에 뉴스에서 확인된 내용과 같이.. 삼성은 23년부터 EUV 공정에 펠리클 대량 투입을 밝혔었는데.. (아래 디일렉 뉴스 참고)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3268 

 

삼성전자, 2023년부터 EUV공정에 펠리클 대량 투입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전자가 오는 2023년부터 반도체 극자외선(EUV) 공정에 펠리클을 사용할 계획이다. EUV 공정을 활용해 본격적인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20일 \"삼성전자가 내

www.thelec.kr

 

이것은 21년초 IR행사에서 밝혔던.. 22년 내 3나노 반도체 양산 시 23년부터는 펠리클을 대량 투입하겠다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번 IR에서 밝힌것과 같이 그 시점이 약 6개월 당겨진다면.. 펠리클 대량 투입 시점도 앞당겨 질 것이라 생각된다.

 

현재 시점에서 투과율 90% 충족하는 펠리클은 미쓰이, 에스앤에스텍 2곳에서 나왔으며.. 미쓰이는 ASML 퀄 통과했고.. 에스앤도 곧 통과 할 것이라 생각된다.

- 펠리클 공급이 원활해야 ASML의 EUV Lithography 장비 매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에스앤에스텍 자체 테스트 시 별 문제가 없었기에.. ASML 퀄 테스트는 긍정적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 알려진바에 따르면.. TSMC는 약 80%중반대 투과율의 펠리클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예전 MK3제품을 사용하던 시절 소식인지 정확하게는 모르겠다. (19년 ASML + 미쓰이의 MK3구조는 82~83% 투과율, MK4 구조는 투과율 88~90%)

그리고.. 현재.. 삼성은 펠리클 없이 포토마스크를 세정해서 재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만약 삼성이 향후 펠리클을 사용한다면.. 미쓰이 제품을 100% 수급해서 사용하기에는 부담이 있을 것이다. 미쓰이는 대표적인 전범 기업으로.. 19년도에 일본 소부장 수출 규제를 경험한 이력이 있는 삼성에서 미쓰이 제품을 100% 사용하다가 다시 문제가 생기는 리스크를 안고 가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블랭크마스크 & 펠리클 수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0년에 에스앤에스텍에 3자배정유상증자 참여(약 650억 투자 @38,420원) 하였다고 생각한다. 이후 2021년에는 에프에스티에도 약 400억 3자배정유상증자 참여함.

 

아직 EUV펠리클 시장은 개화되지 않았다. 하지만 빠르면 22년.. 늦어도 23년에는 본격적으로 시장이 커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아직 상방이 많이 열려있는 현재.. 본 주식을 매도할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1. EUV 노광공정 적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

2. 투과율 90%이상 EUV 펠리클 생산 가능 업체 부족 (펠리클 공급 부족)

 

위 2가지 사실만으로라도.. 아직 본 업체의 상방은 많이 열려있는 상황이라 생각한다. (물론 현재 PER은 66정도 수준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2~3년 후의 실적을 생각한다면.. PER은 현 시점 대비 50%가량 낮아질 것으로 생각됨)

 

그렇기에.. 필자는 시장의 급등락에 신경쓰지 않고.. 현재 포지션을 그대로 지킬 생각이며.. 만약 평단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면.. (20년 초 중반에 분할매수 했었기에..평단이 낮은 상황이다.) 추매도 고려하고 있다.

- 아직 목표가에 도달한적이 없어.. 목표가 도달까지 기다린다는 이야기(개인적 목표가는 아래 포스팅 참고)

https://yusae8th.tistory.com/99

 

[에스앤에스텍] 뇌피셜리 목표 (feat. 투과율 90% 이상 EUV 펠리클 )

금일 작성하는 내용은.. 내러티브에 의한 내용임.. (순수 FACT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내러티브(narrative) - 인과 관계로 엮인 실제적, 허구적인 이야기 다모다란 교수님이 '내러티브 앤 넘버스'

yusae8th.tistory.com

 

 

물론.. 필자는.. 에스앤에스텍의 주주로서..본 포스팅의 내용 또한.. 어느 정도는 개인적 희망이 들어가있는 포스팅이라는점.. 참고 바랍니다. 

* 투자 판단은 개인의 몫이며 본 포스팅은 종목 추천 글이 아님을 참고 바랍니다.

* 글 내용이 유용했다면 아래 좋아요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