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중인 내용이므로.. 혹시 필자가 기입한 내용 중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알려주시면.. 확인 후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케이엔더블유에 대한 포스팅이다.
케이엔더블유 관련 글인데.. 왜 수소연료전지 이야기가 나오냐고??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내용을 보다 보면.. 왜 수소연료전지 관련 이야기를 하다가.. 케이엔더블유 이야기를 하는건지 알 수 있을것이다.
참고로 필자는 2차전지에 대해서는 약 1년간 공부를 했으니.. 어느정도는 이해를 하고 있다만.. 수소연료전지에 대해서는 아는것이 별로 없어서.. 다른 뉴스 기사나.. 다른사람들의 설명을 보고 어느정도 이해만 하고 있는 수준이다. 그러던 중 금일.. 상아프론테크에 대해서 추가로 알아보고 있던 중.. 케이엔더블유에 반가운 소식이 있어서.. 포스팅을 한다.
최근 수소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지난주 일진하이솔루스가 상장하면서.. 수소산업이 다시 관심을 받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9.7에 현대차그룹은 수소산업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하이드로젠 웨이브'라는 글로벌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래서..수소연료전지스택 대장주인 상아프론테크에 대해 추가 공부를 하던 중 아래 내용을 확이하게 되었다.
1. 상아프론테크
작년부터 수소산업이 이슈가 되면서 수소연료전지 관련주로 이름을 날리는 회사이다.
* 수소연료전지 PEM(Proton Exchange Membrane) 국산화 성공(Gore사와 협업) -> 현대차 납품중
* 수전해설비용 멤브레인(전해질막) 국산화에 성공
* Membrane : 수소차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에서.. 수소이온(H+)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멤브레인. 스택 중 멤브레인 원가 비율도 약 40% 수준 (∴ 수소차 원가 중 약 16% 수준을 차지함)
* 상아프론테크는 특히 불소수지 멤브레인 중 난이도가 가장 높다고 하는 수소차용 ePTFE를 Gore사와 협업하여 상업화에 성공하였다.
* ePFTE는 수소연료전지스택, 의류, 반도체, 필터 등에도 적용 가능함.
필자는 여기에서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이.. 불소수지라는 이야기였다. 현재 투자중인 회사 중 불소(F)산업의 미래를 보고 투자한 회사가 케이엔더블유(플루오린코리아 보유)이기에.. 여기에서도 불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고서.. 불소의 활용 가치로 인해서.. 동 회사에 좀 더 높은 벨류를 적용해도 되지 않을까??
안그래도.. 21.09.02에 플루오린코리아를 23년 코스닥 상장할거라고.. 뉴스까지 나왔었는데.. 09.01에 회사 홈페이지에 올라온 IR자료를 보면.. 사업내용에..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사업까지 추가가 되었던데.. 본 사업 또한.. 결국엔 불소(F)를 이용한 사업이었다. 그런데.. 수소연료전지스택에도 불소가 사용된다고 하니.. 플루오린은 향후 탄소제로 시대를 위한 사업들(2차전지, 수소연료전지)에서..반드시 필요한 소재를 생산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본 회사에 대한 멀티플을 다양하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1. 반도체 식각 및 세정용 소재 (F2가스, SF6가스)
2.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F1EC 등)
3. 수소연료전지스택 소재 (F를 사용한 어떠한 제품)
그리고..
각 부문별 Peer 그룹 비교를 해보면..
1. 반도체 식각 소재 관련 기업
1)솔브레인(불산액) - 22FWD PER 10.48
2) SK머티리얼즈(가스) - 22FWD PER 18.76
2. 2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관련 기업
1) 후성(반도체 특수가스 + 전해질(LiPF6, LiPO2F2, LiBF4) + 냉매가스) - 22FWD PER 25.92
2) 천보(전해질(LiFSI, LiPO2F2, LiBOB, LiDFOP), 전해액 첨가제(AN, SN, FEC) - 22FWD PER 36.52
3. 수소연료전지스택 소재
1) 상아프론테크(ePTFE) - 22FWD PER 50.73
2) 시노펙스 - 20년 적자 기업으로 per N/A
3) 코오롱 인더 - 여러 사업부문 중 타이어코드, 아라미드 등 사업 이익 비중 높아서.. peer 제외
내 맘대로 케이엔더블유 실적 전망에 따르면..
* 22년 영업이익 : 플루오린코리아 (반도체부문 : 120억 + 2차전지부문 : 20억) + 그 외 사업 10억
[전자부품소재, 자동차부품소재]는 영업이익이 적자, 흑자 합계 시 이익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일단 제외하고.. 단순히 '플루오린코리아'만 적용하면.. 약 140억으로 예상
(상기 전망 관련 근거는 지난 포스팅 내용 확인하세요^^)
https://yusae8th.tistory.com/13
케이엔더블유(KNW) 투자 가설
21년 8월 17일.. 반기보고서 공시 데드라인이라 반기보고서가 마구 쏟아지는 날이다. 그 중 올 5월에 투자를 시작했던 케이엔더블유에 대하여 당시 투자를 시작했던 나의 가설과 그 가설을 검증하
yusae8th.tistory.com
https://yusae8th.tistory.com/14
케이엔더블유(KNW) 투자 가설 복기
본 글은 지난 5월에 본 케이엔더블유에 투자를 시작할 시점에 세웠던 가설을 검증해보는 글이다. 투자 가설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 클릭해주세요. ^^ https://yusae8th.tistory.com/13 케이엔더
yusae8th.tistory.com
마지막으로.. peer 그룹 대비하여.. 기업 벨류 적용 시
1. 반도체 소재 기업 평균 per 15 적용 時 : 140억 x 15 = 2,100억
2. 전해질 첨가제 기업 평균 per 31 적용 時 : 140억 x 31 = 4,300억
3. 수소연료전지 소재 기업 평균 per 50 적용 時 : 140억 x 50 = 7,000억
(1안 시총 + 2안 시총 + 3안 시총) / 3 = 목표 시총.. 이라고 계산하면..
목표시총 4,466억 = 약 4,500억 이며..
금일 기준 시총 1,359억이므로.. 21.09.04 종가 (11,200원) 대비 upside 330%(37,000원) 목표로 하는것이 어떨까 생각해본다.
앞으로.. 중간중간에.. 미래 실적 예측을 추가로 하면서.. 본 가설에 대한 의견 수정을 해야겠다.
참고로.. 케이엔더블유 IR자료는 아래 링크를 누르면 확인 가능하다.
http://www.knwkorea.com/ir/ir_data.html?page=b_view&s_table=dataroom1&aq_id=68&aq_listnum=8&aq_part=
::: (주)케이엔더블유 :::
IR자료실 디스플레이 산업용 첨단소재 및 자동차산업용 부품소재 제조 전문기업 KNW > 투자정보 > IR자료실
www.knwkorea.com
그래서..오늘의 결론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F의 사용처가 참으로 많다는 것을 알게 됨.
(공부중인 내용이므로.. 혹시 필자가 기입한 내용 중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알려주시면.. 확인 후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정보 > 케이엔더블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엔더블유] 3분기 실적발표 이후 (0) | 2021.11.20 |
---|---|
[추가 공부] 케이엔더블유 (0) | 2021.09.11 |
[케이엔더블유]투자가설 복기 (0) | 2021.09.02 |
케이엔더블유(KNW) 투자 가설 복기 (0) | 2021.08.17 |
케이엔더블유(KNW) 투자 가설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