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탄소배출권] 공부 시작 (1/2)

반응형

탄소배출권에 대해서 많이 듣긴 했지만.. 자세하게 공부하지는 않았던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드디어 국내에서도 어제 4종의 탄소배출권 ETF가 상장되었다. (신한 SOL , NH-아문디 하나로, 삼성 코덱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O0HLW0G

 

탄소배출권 ETF 상장 첫날에 100억 몰렸다

국내 증시에 첫선을 보인 탄소배출권선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 첫날부터 개인 자금을 흡수하며 기분 좋은 첫발을 내디뎠다.30일 금융 투자 업계에 따르면 이날 상장한 4종의 해외 탄소배출

www.sedaily.com

 

개별기업의 공부도 중요하겠지만.. 전체 섹터에 대한 공부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기회에 탄소배출권에 대한 공부를 좀 해봐야겠다. 

앞으로 공부를 하면서 관련 포스팅을 추가로 지속하겠다.

 

그럼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탄소배출권은 무엇인가에 대한 포스팅이다.

 

* 탄소배출권이란??

 -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NO2), 과불화탄소(HFCs),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 등 6대 온실가스를 배출 할 수 있는 권리.

 

참고로 온실가스란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질(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 2조 9항)을 말한다.

 

그리고 각각의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수치화 한 것이 지구온난화 지수 (GWP : Global Warming Potential)라고 하는데.. 이는 단위 질량당 온난화 효과를 지수화 한 것임.

CO2를 1로 기준을 삼고.. 메탄(CH4)는 21, 이산화질소(NO2)는 310, 과불화탄소(HFCs)는 7,000, 수소불화탄소(HFC)는 1,300, 육불화황(SF6)는 23,900 으로 알려져있음. 

 

각 기업은 일정 기간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할당량보다 많으면 탄소배출량이 넘치는 만큼 탄소배출권을 사들여야 한다. 

 

EU를 비롯한 미국, 한국, 중국, 뉴질랜드 등에서는 탄소배출권거래제(ETS)를 시행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선물, 현물 거래는 최초로 ETS를 도입한 EU 내 유럽 기후거래소(ECX)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삼성증권 리포트 내용 인용>

 

탄소배출권은 보관 비용이 없기 때문에 롤오버 비용이 다른 원자재 선물에 비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원자재 ETF등이 롤오버 비용으로 실제 원자재 가격과 가격 차이를 보이는 것과 달리, 탄소배출권 선물의 경우 연말 만기가 도래해도 롤오버 비용에 따른 가격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20년 4월 20일에 5월물 WTI가 -40.32달러까지 떨어졌던 적이 있으며.. 당시 원유 선물 가지고 있으면.. 원유를 대량으로 받아야 하는데 보관 장소가 모자라서 전 세계가 난리통이었던적이 있었다.)

 

그럼.. 이런 탄소배출권에서는.. 결국 탄소 가격제가 핵심이 될 것인데..

- 일반적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제, 탄소세 2가지 가격제를 선호하는 편이다.

 

<삼성증권 리포트 내용 인용>

 

이 중  탄소 배출권 거래제는 일반적으로 배출총량 거래(Cap & Trade) 원칙에 입각해 운영하는데.. 

 1) 배출권 거래제 운영 주체(정부 등)가 참여자 대상으로 탄소 배출 허용 총량(Cap)을 설정함.

 2) 대상 기업은 배출허용총량 내 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음. 무상할당 또는 유상할당(경매 참여)으로 배정함.

 3) 이후 잉여 & 필요 물량은 참여자들간의 거래.. 즉.. 수요 & 공급에 의해 탄소 가격 결정된다.

 

즉.. 탄소 배출권 가격은 규제에 매우 민감하게 변동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이것은 거래 감독 기관이 가격 결정 프로세스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점이 투자를 약간 망설이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만약.. 규제를 완화 할 경우..가격의 하락이 당연할 것이기 때문. 긴 시간동안..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는 분위기이긴 하지만.. 만약 경기가 최악의 상황에 닥쳤을 경우.. 각국 정부가 탄소 배출 규제를 지속 강화 할까?? 잘 모르겠다. - 트럼프 집권시절의 미국을 보면 알 수 있다. 당시 파리 기후협약도 탈퇴퇴하지 않았던가~)

 

여하튼..

전 세계적으로 탈탄소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고 있는 중이니..

글로벌리한 시각에서는 당연히 탄소 규제가 지속 될 것이라고 보고 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 (위에서 언급했던 변수는 장기 시계열에서 본다면.. 그 기울기가 잠시 낮아졌다가.. 다시 올라가는 이벤트라고 봐야 할 것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탄소배출권 거래제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반응형